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경제산책

경제학공부 금리 알아보기 본문

경제학공부

경제학공부 금리 알아보기

월부자세 2020. 6. 29. 23:27

금융의 원래 뜻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금융의 원래 뜻은 바로 돈을 빌리는 것입니다. 금융을 통해서 돈을 통해 돈을 버는 그런 신기한 방법이 있습니다. 무려 3가지나 존재하게 됩니다. 바로 이자와 배당 그리고 매매차익이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자란 바로 돈을 빌려주는 대신 그 대가로 받는 돈입니다. 쉽게 말해서 은행에 우리가 가진 돈을 빌려주고나서 은행으로부터 이자를 받습니다. 그 반대로 우리는 은행에서 돈을 빌려 쓴 다음에 그에 대한 이자를 내기도 합니다. 그 다음으로 알아볼 것은 배당입니다. 배당은 돈을 기업같은 곳에 투자하고 나서 그 대가로 받을 수 있는 돈을 말합니다. 어떤 기업에 주식을 사서 기업에 투자할 경우 그 회사가 실적을 잘 올려 이윤을 올리게 되면 그에 대한 대가로 배당을 받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알아볼 것은 바로 매매차익입니다. 매매차익이란 주식 혹은 펀드상품을 사서 나중에 팔 때 그 시세 차이로 인해 버는 이익을 말합니다. 가격이 쌀 때 사서 비쌀 때 팔게 되면 매매차익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어떤 금융상품도 이 세가지 범주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우선 이정도로만 알고 넘어간 후 돈을 빌려주는데 필요한 대가인 금리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이자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이자란 돈을 빌려주는 대신 받는 것인데 한마디로 돈의 가격이라고 정할 수 있습니다. 이자율이라는 개념은 바로 금리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 개념은 바로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로 나타나게 됩니다. 금리는 우선 무위험수익률과 위험수익률로 구분이 됩니다. 위험수익률은 돈을 빌려갔지만 그 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에 대한 대가로 나타나게 되는 수익률입니다. 그리고 무위험수익률은 바로 기회비용과 맞물려 생각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그 돈을 당장의 이익에 쓰지 않고 빌려주어 발생하는 기회비용에 대한 대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제 돈을 빌려주는 주체는 어떠한 정보를 통해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돈을 빌려줄지 결정하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신용과 만기 그리고 금액이라는 3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신용은 상대방이 돈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신용이 높을수록 돈을 돌려받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바로 위험수익률이 줄어들게 되어 금리가 작게 책정이 됩니다. 그리고 그다음에 살펴볼 사항은 만기입니다. 만기가 길어질 수록 돈을 받지 못할 확률이 늘어나기에 위험수익률이 높아져서 금리가 높게 책정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요소인 금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얼마나 많은 돈을 빌려주느냐에 따라 금리가 달라지는데, 빌린돈이 많을 수록 갚기 힘들어지므로 위험수익률이 늘어나 금리는 늘어나게 됩니다. 금리는 결국 위험수익률과 무위험수익률로 나뉘어져 있다는 개념을 잘 잡고 가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금리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