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책
경제학공부 채권이란 무엇인가 본문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 알아볼 주제는 바로 채권입니다. 채권이란 돈을 빌리면서 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주는 증서입니다. 일종의 차용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내가 친구에게 돈을 빌린다고 가정해 봅시다. 제가 친구에게 5천만원을 빌리면 친구는 저에게 5천만원 현금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저는 이 친구에게 나중에 5천만원을 갚겠다는 약속증서를 친구에게 내어줍니다. 바로 이 약속증서가 채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용증의 경우 개인이 발행할 수 있지만 채권의 경우는 그렇지 않습니다. 채권은 정부나 은행이 발행할 수 있습니다. 또 일정한 조건이 갖춰진 주식회사에서도 채권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정보의 경우 채권을 발행할 때 마음대로 할 수 있는것이 아니라 국회의 동의를 받게 됩니다. 일정 요건이 충족된 주식회사가 채권을 발행하려고 할 때에도 금융감독원에 신고서를 제출하여 절차를 따라 발행해야 합니다. 아무나 채권을 발행하게 되면 나라 전체적으로 신용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채권은 차용증과 다른점이 한가지 더 있습니다. 바로 채권은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일종의 주식 개념으로 쌀때 사서 비쌀때 팔면 자본차이 이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이 될 수 있습니다. 주식회사가 시설투자를 위해 10억원이 필요하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은행은 이 기업에게 10억을 빌려주기 위해 까다로운 조건을 붙이기 마련입니다. 유상증자를 통해 주식을 발행해 돈을 모으게 된다면 기존 주주들의 반발이 상당할 것입니다. 그래서 결국 이 기업이 선택한 방안은 채권을 발행하기로 한 것입니다. 10억원에 대한 채권을 증권사 하나가 중개하기로 하였다면 1장당 100만원짜리 채권을 천장으로 나눠서 거래할 수 있게 합니다. 부자들은 이를 중개하는 증권사에서 회사가 발행한 채권을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그 채권에 써있는 정보는 발행처와 액면가 그리고 만기와 표면금리입니다. 발행처는 채무자에 대한 정보가 나와있습니다. 액면가는 증권사가 분할한 만큼의 액수가 나와 빌리는 원금이 될 것입니다. 만기는 언제 기업이 돈을 갚을것인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표면금리는 돈을 빌리는데에 대한 대가를 의미합니다. 표면금리로 인한 수익은 만기때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회사채의 경우 시중 은행 예금금리보다 높기때문에 투자가치가 확실합니다. 사들인 채권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그로 인한 매매차익도 낼 수 있습니다. 채무자의 신용등급에 따라 채권가격이 달라지게되며 이를 통해 시세차익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채권의 경우 주식처럼 가격이 오를 때 팔 수도 있을 것 입니다. 그리고 만기때까지 보유하면 확정이자도 받을 수 있는 투자상품입니다. 이제 채권에 대한 기초를 살펴보았으니 다음 시간에는 채권시장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경제학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공부 채권금리의 변동 (0) | 2020.07.08 |
---|---|
경제학공부 채권시장의 규모 (0) | 2020.07.07 |
경제학공부 기준금리의 정의 (0) | 2020.07.01 |
경제학공부 금리 변동의 의미 (0) | 2020.06.30 |
경제학공부 금리 알아보기 (0) | 2020.06.29 |